여름철이면 장마가 끝난 뒤 태풍이 와서 많은 피해를 입는 경우가 매년 있었습니다. 그러다 보면 뉴스에서나 사람들끼리 이야기를 할 때에 예전에 왔었던 무슨 무슨 태풍이랑 비교해서 이번 태풍이 강하다 약하다 이야기를 하곤 합니다. 가끔 태풍의 이름이 한글로 되어 있는 경우 한글 이름이 왜 있는지에 대해 궁금해 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그래서 인지 우리나라에서 태풍 이름을 짓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태풍 이름짓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볼까 합니다.
 

 


먼저 태풍에 이름을 지어주기 시작한 이유부터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태풍이 한번 발생하게 되면 일주일 이상 지속되기도 합니다. 그렇다보니 같은 나라, 같은 지역에 여러 개의 태풍이 영향을 주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 기상 예보 시 각자 다른 태풍을 혼동할 수 있기 때문에 태풍에 이름을 지어주기 시작한 것입니다. 이처럼 태풍에 이름을 붙이기 시작한 가장 최초는 호주의 예보관들이었습니다. 처음에는 태풍에 자신들이 싫어하는 정치인의 이름을 붙여 풍자적인 의미를 주기 위해 시작되었습니다.

그러다가 2차 세계대전이 지난 후 미 공군과 해군에서 태풍에 공식적으로 이름을 지어 붙이기 시작했는데요. 그 당시 예보관들은 자신의 아내나 애인의 이름을 태풍 이름으로 사용하였다고 합니다. 그러던 와중 태풍이 인명과 재산에 큰 피해를 주기 시작하며 태풍에 여자 이름이 붙는 것에 대해 여성단체에서 이에 문제를 제기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1979년부터는 남녀의 이름이 번갈아가며 태풍의 이름으로 사용되었습니다.
 
기존의 태풍 이름을 짓는 방법이 현재의 방법으로 바뀌게 된 것은 2000년부터입니다. 태풍위원회에서 태평양 및 아시아 지역 태풍에 관한 국민들의 관심도 높이고 태풍 경계를 강화하기 위해서 기존의 서양식 표기 방식의 태풍이름을 태풍위원회 회원국들이 체출한 고유이름으로 변경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태풍위원회에 소속된 국가는 총 14개이며 한국, 북한, 중국, 일본, 미국, 태국, 캄보디아, 라오스, 말레이시아, 홍콩, 마카오, 미크로네시아, 필리핀, 베트남이 회원국입니다. 이렇게 각 나라별로 10개씩 제출된 이름을 통하여 총 140개의 이름을 순서대로 태풍에 명명하게 됩니다.

140개의 예비 태풍 이름을 5개 조로 나누어 1조부터 차례대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죠. 140개의 이름이 모두 사용되면 다시 처음 사용했던 이름을 사용합니다. 평균적으로 태풍은 1년에 30개정도 발생이 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5년정도 지나면 140개의 이름을 모두 사용하고 처음으로 돌아가게됩니다.

 

 


우리 나라에서 제출한 태풍 이름은 영문으로 표기와 발음이 비교적 쉬운 동식물에서 이름을 고릅니다. 태풍 이름 짓는 방법에 대해서 모르실 때에는 유독 한글로 된 태풍이름이 많다고 느끼실 수도 있으실텐데요. 한글로 된 태풍이 많아보이는 이유는 위에서 설명한 대로 회원국 중에 북한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북한도 한국과 마찬가지로 한글로 된 태풍 이름을 10개 제출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한글로 된 태풍 이름을 많이 볼 수가 있습니다.

그렇게 정해진 140개의 이름을 사용하지만 이 이름들을 영구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아닙니다.  막대한 피해를 주는 태풍의 경우 다시는 그런 피해를 입지 않기를 바라는 소망에서 태풍의 이름이 삭제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매년 11월 태풍위원회에 피해가 컸던 태풍의 이름을 삭제 요청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태풍 이름 짓는 방법과 함께 태풍의 이름이 어떻게 유래가 되었는지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매년 발생하는 태풍, 다시 한번 주의하여 태풍에 피해 없으시길 바랍니다.

 

Posted by %%%~%%%%_!!